PBR 낮을수록 좋은 종목일까?

주식 투자를 하다보면 PBR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어떤 사람은 PBR이 낮을수록 좋다고 하고 어떤 이는 아니라고 합니다. 또 PBR을 통해 주식이 저평가인지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데, 대체 PBR이란 무엇일까요? 오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PBR 뜻

PBR은 Price to Book-value Ration의 줄임말로,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보면 어렵게 느껴지는데요, 실제로는 매우 쉬운 개념입니다. 한번 예를 들어 볼까요?


pbr-설명

제가 5000만 원을 가지고 커피집을 오픈했습니다. 장사가 잘되서 매출도 잘 나오고 이익도 괜찮은데 사정상 이 가게를 팔아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그때, 다른 사람이 나타나서 이 가게를 1억에 인수하였습니다.

그러면 내가 처음 가게를 오픈할 때 지출한 5000만 원 대비해서 몇 배의 이익을 남긴 걸까요? 1억에 넘겼으니 2배의 이익을 남긴 것이죠?

이것을 공식으로 표현하면 “시장에 판 가격 1억(Price) ÷ 처음 투자 비용 5000만 원(Book-value)의 비율(Ratio)”이 되고 이 공식의 영어 약자만 따서 PBR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PBR에서 B(Book-value)에 해당하는 “순자산”은 말 그대로 빚을 뺀 순수한 내돈을 뜻합니다. 그래서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하는 것이죠.




2. 저 PBR, 고 PBR

PBR은 기업 순자산의 몇 배로 시장에서 거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래서 기업의 성장 가능성, 성과에 따라서 어떤 기업은 저 PBR이고 어떤 기업은 고 PBR이 되는 것이죠.


1) 저 PBR

저-pbr-설명

기업의 시가총액이 순자산보다 낮은 주식을 “저 PBR 주”라고 합니다. 이런 기업은 보통 PBR 값이 1 미만인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회사의 가치를 시장에서 평가한 것이 시가총액이죠? 그런데 이 가치가 회사의 순자산 보다 낮다면, 즉 PBR이 1 미만이라면 회사 주식을 모두 사서 기업을 인수한 다음에 이 기업의 자산을 팔아도 투자자에겐 남는 장사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PBR이 1 미만이라는 것은 지극히 비정상적인 일이고, 해당 회사에 많은 문제가 있다는 뜻이라고 해석하면 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주식은 PBR이 1 미만인 주식이 매우 많습니다. 이건 심각한 상황인데요, 주주 친화적이지 않은 회사운영, 배당을 잘 하지 않고, 비정상적인 경영권 승계 등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유발하는 여러 요인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부도 이 상황을 어떻게든 개선해보기 위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노력을 하고 있긴 한데,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2) 고 PBR

회사의 순자산 가치보다 시가총액이 비싼 경우입니다. 보통 PBR 2, 즉 순자산의 두 배 가격 이상으로 주가가 형성되어 있으면 고 PBR 주식으로 봅니다.

덩치가 큰 기업보다는 한창 성장해 나가는 기업, 현재 보다는 미래가 더욱 기대되는 기업의 PBR이 주로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기업은 주가 변동성이 높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투자할 때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3. 결론

PBR은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정상적인 기업이라면 PBR 값이 보통 1을 넘기지만, 한국의 경우 코리아 디스카운트 영향으로 PBR이 1 미만인 기업이 많습니다.

가치투자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PBR 1 미만인 기업들을 ‘저평가’ 됐다고 생각하여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가지만, 한국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영향으로 해당 전략이 통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므로 투자 결정을 하기 앞서서 ROE, PER, PBR 등 다양한 지표와 함께 다각적인 의사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워렌버핏이 사랑한 지표, ROE란 무엇일까?

주식 PER 기본 개념 마스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