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 IRP 세액공제 금액 완벽 정리

연금저축과 IRP는 대표적인 절세계좌입니다. 이 계좌에 일정 금액을 넣어두기만 하면 국가에서는 정해진 비율만큼 연말정산 때 돈을 돌려주기 때문에 직장인들에게 인기가 좋은 상품입니다. 오늘은 이 둘의 세액공제 금액에 대해서 완벽하게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 납입한도와 세액공제 가능 금액 2. 돌려받는 금액(연말정산 환급금) 근로소득 5,500만원 이하 근로소득 5,500만원 초과 세액공제 비율 16.5% 13.2% 환급금(900만원 입금시) 148만 5천원 118만 … Read more

연금저축펀드 1800만원 한도까지 돈을 넣는게 좋은 이유

연금저축펀드는 개인당 1년에 1800만 원까지 돈을 넣을 수 있고 그중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세액공제만 받기 위해 600만 원까지만 넣습니다. 하지만, 여유가 있다면 1800만 원 한도까지 꽉꽉 채우는 것이 재테크적으로 훨씬 좋은데요, 오늘은 연금저축펀드에 1800만 원 한도를 채우는 것이 왜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1. 연금저축펀드에 들어있는 3종류의 돈 연금저축펀드에는 총 3가지 … Read more

연금저축펀드 쉽게 이해하기 – 개념과 장점, 단점

연금저축은 많은 세제혜택이 있는 상품인데요, 그중에서 펀드를 가지고 운용할 수 있는 상품을 ‘연금저축펀드’라고 합니다. 오늘은 연금저축펀드의 개념과 장점, 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금저축펀드란 무엇일까? 1) 개념 국가에서 개인의 노후를 위해 마련해 놓은 것이 ‘연금’이라는 제도인데요, 우리나라는 3층 연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층은 국민연금, 2층은 퇴직연금, 그리고 3층은 개인연금인데 이 중 개인연금에 해당하는 것이 오늘의 … Read more

FOMC 회의란 무엇일까? –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쉽게 이해하기

신문이나 TV 뉴스를 보다 보면 FOMC 회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경제와 투자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FOMC 회의가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FOMC가 무엇이고 FOMC 회의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FOMC 회의란?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는 FOMC가 주관하는 회의로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회의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 Read more

주식 티커(Ticker)란 무엇일까? 티커와 종목코드 이야기

우리가 주식을 매수할 때 해당 기업의 이름을 직접 검색하기보단 문자나 숫자를 입력해서 매매하곤 합니다. 여기서 사용하는 문자를 ‘티커(Ticker)’라고 하고 한국에서는 종목코드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이 티커와 종목코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티커(Ticker)란? 우리나라에서 사람이 태어나면 주민등록번호가 부여되고 새 학기가 되면 학생들에게 번호가 붙듯이 각 주식 종목에도 이와 비슷한 글자가 있는데 이것을 ‘티커(Ticker)’라고 합니다. 원래 티커는 … Read more

단리와 복리의 차이, 그리고 CAGR(연평균성장률)이란 뭘까?

투자를 하다 보면 단리, 복리, CAGR에 대해서 많이 듣게 됩니다. 오늘은 투자에서 말하는 단리, 복리, CAGR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단리, 복리, CAGR이란? 1) 단리(單利, Simple Interest)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주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 1,000만 원짜리 예금을 금리 5%에 3년간 가입했다고 해봅시다. 매년 5% 이자인 50만 원을 … Read more

채권 금리, 듀레이션, 주식 채권 관계 – 주식 투자를 위한 채권 상식 2편

지난 포스팅에서는 채권의 대략적인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채권 가격과 금리의 관계, 채권 만기와 듀레이션의 개념, 그리고 주식과 채권과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채권 가격과 금리의 관계 채권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면 ‘채권의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은 내려간다’라는 내용이 이해가 잘 안 됩니다. 상식적으로 채권을 매수한 사람에게 이자를 더 준다는데 채권 가격이 내려간다는 … Read more

채권이란? 국채, 신용도, 스프레드 – 주식 투자를 위한 채권 상식 1편

주식 투자를 잘하기 위해서는 주식을 잘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것과 관계된 다양한 자산군의 성질까지 알아두면 투자에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주식의 영혼의 짝꿍인 채권의 개념, 종류, 신용도, 스프레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채권이란 무엇일까? 1) 채권의 개념 채권은 다른 사람에게 돈을 빌린 다음에 언제까지 갚겠다는 내용을 써 놓은 문서입니다. 예를 들어 철수가 영희에게 돈 100만 … Read more

올웨더 포트폴리오 전략 4편 – ETF로 구현한 올웨더, RPAR

지난 시간까지는 올웨더의 개념, 그리고 올웨더를 구현한 다양한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일반인도 올웨더에 투자하게 만든다는 정신으로 구현된 ETF인 RPAR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RPAR은 왜 만들어졌을까? 지난 시간까지 여러 가지 올웨더 전략에 대해 설명을 하였습니다. 여기까지 읽었다면 “그냥 브릿지워터에서 운용하는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투자하지 무엇하러 전략을 구현하려고 애쓰나?”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브릿지워터는 개인 투자자의 돈은 더 이상 … Read more

올웨더 포트폴리오 전략 3편 – 김단테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전략

올웨더-포트폴리오를-ETF로-구성한-표

지난 시간에는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올시즌스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김단테님이 공개한 ETF로 구현한 올웨더 포트폴리오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포트폴리오 구성 금융 스타트업 ‘든든’을 창업한 김단테님이 구성한 포트폴리오입니다. 2020년까지 실제로 운영한 포트폴리오 구성이며 현제는 이 비율대로 운영하지 않는다고 김단테님이 공지했습니다. 여러분은 이렇게도 구성하는구나라고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분산투자를 지향하기 때문에 한 국가를 담는 것보다는 다양한 국가의 … Read more